원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자신의 DNS의 IP는 도메인을 관리하는 상위 도메인 기관,
즉 internic이나 krnic 등에 등록되어 있고,
mydomain.com에 관한 패킷은 그런 상위 도메인 기관을 통하여
자신의 DNS로 들어오게 됩니다.
이후 DNS가 2차, 3차 도메인을 처리하게 되지요.
그러니 웹서비스와 DNS의 IP가 같다고 하여도 아무 문제가 없습니다.
2.
컴퓨터 이름은 좋을 대로 하시면 됩니다.
그러나 도메인과 연결된 컴퓨터라면,
그 컴퓨터 이름이 2차 도메인처럼 처리됩니다.
즉 만약 컴퓨터 이름을 NS로 하셨다면
전체 컴퓨터 이름은 ns.mydomain.com으로 되는 것이지요.